• 너와 나 함께하는 아산숲길 누리집입니다.
  • 너와 나 함께하는 아산숲길 누리집입니다.
온천천길
비순환형 초급

온천천길

온천천은 생태복원사업으로 조성된 생태연못, 만남의 광장, 경관폭포, 터널분수 등을 조성하여 도심속 휴식공간으로 각광받고 있다. 가벼운 산책길로 실옥보쪽 곡교천길과 연결되는 둘레길이다.

# 온양1동, 둘레길
충의길
비순환형 중급

충의길

1597년 1월 14일 일본의 재침으로 시작된 정유재란에서 선조의 출정 명령을 어김으로 인해 삼도수군통제사에서 파직되고 도원수 권율의 막하에서 백의종군하라는 명을 받고 1597년 4월 1일 의금부(현재 종각 부근)에서 출발해 아산에 들렀다가 전북 남원, 전남 구례 등을 거쳐 협천의 도원 수진에 이르기까지 이순신이 걸었던 경로와 활동 범위 전체인 640㎞의 경로를 ‘이순신 백의종군길’이라고 한다. 아산시에서 이순신의 행로 중 백의종군길 1구간은 이순신장군이 백의종군을 위해 의금부에서 나와 한양(서울)을 출발, 평택을 지나 아산으로 들어와 음봉면의 선영을 거쳐 염치읍 백암리 본가 9고택에 이르기까지의 경로로 대략 23km의 구간이다.

# 둔포면,염치읍, 둘레길
천년물결길
순환형 중급

천년물결길

저수지 수변을 바라보며 걷다보면 주변 물안개가 자욱하게 피어올라 한폭의 동양화가 떠오른다. 수려한 산세와 은빛 저수지의 풍광을 즐기며 걷기 좋은길로 데이트 코스로도 안성맞춤이다.

# 송악면, 둘레길
모종들길
순환형 초급

모종들길

마을에 큰 못이 있었다 하여 ‘못마루’라고 부른데서 유래된 모종동을 한바퀴 둘러싼 모종들길은 시내권에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둘레길로 순환형 마을길이다. 곡교천, 은행나무길과 연계 되는 둘레길이다.

# 온양3동, 둘레길
아산시 둘레길 코스 더보기
망경산
해발 600.1m

망경산

산은 가파르나 정상은 넓다. 우리나라에는 망경산, 망경대라는 이름이 많은데 이들 산의 특색은 멀리까지 잘 보이는 조망이 좋은 곳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는 왕조시대에 국상이 나면 백립을 쓰고 서울 쪽을 향하여 망매, 망곡 하던 곳이며, 정상에 올라가면 한양(서울)에 있는 산들이 보인다고 하여 붙여진 산으로 전망이 좋기로는 이 일대에서 최고의 산이다.

# 배방읍, 등산로
배방산
해발 361.0m

배방산

배방산은 설화산과 마주하고 있는 산으로 모양이 기러기가 지나가는 형국이라고 하며, 북쪽으로 배방산성이 있는데 배방산성은 충청남도 기념물 제67호로 배방산자락 240m의 정산부에 축조된 산성이다. 성에 올라보면 아산시가 한눈에 들어오고 멀리 백암산성, 세교리산성 등과도 연결되는 등 그 위치와 규모로 볼 때 중요한 성이라 보여 진다. 배방산 정상 동쪽150m 지점에 위치한 정자는 산행으로 인한 땀을 식혀주는데 충분하다.

# 배방읍, 등산로
고용산
해발 295.9m

고용산

초목은 없고 큰 돌만 많이 쌓여 있는 산봉우리가 들 가운데 솟아 고용산이라 불리우며, 사방을 내려다 볼 수 있음은 물론 서해대교가 한눈에 들어오는 전망이 좋은 산이다. 특히 서해안 낙조가 환상적이며, 봄철에는 많은 진달래가 피는 산이기도 한다. 병자호란 때 이 지역 남녀모두가 이 산에 올라와 피난을 하는데 적병들이 사방에서 봉우리를 에워싸고 올라오는 것을 모든 사람들이 적병을 향하여 돌을 내리쳐서 완전히 물리쳤다고 한다.

# 영인면, 등산로
서귀봉
해발 583.0m

서귀봉

광덕산 정상에서 1.4km 떨어져 있는 바위들로 이루어져있는 봉우리로 완만히 따르다가 점점 가파르게 올라가기 시작한다.

# 송악면, 등산로
아산시 등산로 코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