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장애인복지시책

최종 업데이트
24.8.12.
담당부서
경로장애인과
연락처
041-540-2776

1. 연금·수당 등

장애인연금(종전 1급, 2급 및 3급 중복장애)

지원대상

  • 만 18세 이상 등록한 중증장애인
  • 2023년도 선정기준액
    - 단독가구: 122만원
    - 부부가구: 195.2만원

지원내용

[연금·수당지원내용]표 :구분,계,기초,부가
구분 기초 부가
기초
(생계·의료급여)
18~64세 403,180 323,180 80,000
65세 이상 403,180 403,180
주거·교육급여
차상위
18~64세 393,180 323,180 70,000
65세 이상 70,000 70,000
차상위
초과
18~64세 343,180 323,180 20,000
65세 이상 40,000 40,000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신청・ 복지로 온라인신청

장애수당 및 장애아동수당

지원대상

  • 장애수당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기준중위소득 50% 이하)의 만 18세 이상 등록 장애인 중 장애인연금법상 중증장애인에 해당하지 않는 자(종전3∼6급)
  • 장애아동수당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기준중위소득 50% 이하)의 만 18세 미만 장애아동

    *중증장애인:장애인연금법상 중증장애인에 해당하는 자(종전 1급, 2급 및 3급 중복장애)

    *경증장애인:장애인연금법상 중증장애인에 해당하지 않는 자(종전3∼6급)

지원내용

  • 장애수당 :
    -기초(생계, 의료, 주거, 교육) 및 차상위: 1인당 월 6만원
    - 보장시설 수급자(생계, 의료):1인당 월 3만원
  • 장애아동수당 :
    -기초(생계, 의료) 중증:1인당 월 22만원
    -기초(주거, 교육), 차상위 중증:1인당 월 17만원
    -기초(생계, 의료, 주거, 교육) 및 차상위 경증:1인당 월 11만원
    - 보장시설(생계, 의료) 중증:1인당 월 9만원
    - 보장시설(생계, 의료) 경증:1인당 월 3만원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월세거주 장애인 주거비 지원

지원대상

  • 세대주가 등록장애인인 기준 중위 소득 80%이하인 월세거주 장애인 가구
    ①기초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 기초생활보장 수급자격 및 차상위 복지급여 수령 여부 등에 의해 판단
    ②기준중위소득 80%이하 계층
    - 소득수준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액을 토대로 판정
  • 제외대상 : 주거급여 대상자, 시설수급자, 세대원이 장애인인 경우

지원내용

  • 가구당 월 5만원 주거비 지급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장애수당 추가지원

지원대상

  • 장애인연금 지급자 중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장애인
    * 차상위 : 기준중위소득 50% 이하

지원내용

  • 1인당 월 1만 2천원 지급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부부장애 수당지원

지원대상

  • 부부가 장애인으로 등록된 세대 단, 부부의 주민등록 주소지가 시․군간 다를 경우 지급 불가
  • 같은 시군내 주소지가 다를 경우 담당자 확인 후 지급 가능

지원내용

  • 가구당 월 3만 5천원 지급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장애인신문 구독료지원

지원대상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장애인
  • 제외대상 : 장기입원자 및 시설수급자

지원내용

  • 1세대당 월 4천원 구독료 지원(우편료 포함)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중증장애인 월동비 지원

지원대상

  • 장애 정도가「장애인연금법」상 중증장애인*(종전 1급, 2급 및 3급 중복)이며 각 호 중, 한가지에 해당하는 자
    ① 장애인연금 대상자 중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장애인(기준중위소득 50% 이하)
    ② 장애인아동수당 대상자 중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생계·의료·주거·교육)
  • 세대주 및 세대원이 중증장애인이면 지급 (연령구분 없음)
  • 가구지원이므로 2명 이상이어도 1가구로 지원함.
  • 제외대상 : 시설수급자, 장기입원자

지원내용

  • 연 13만 1천원 (1월 50%, 12월 50% 지원)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장애행복수당

지원대상

  • 만 18세 이상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재가 장애인(장애수당 수급자)
  • 제외대상 : 시설수급자

지원내용

  • 1인당 월 2만원 지급

비고

담당부서 확인 후 지급

2. 출산지원

여성장애인 출산비용 지원

지원대상

  • 장애인복지법 제32조에 의한 등록 여성 장애인 중 출산한 자 및 4개월 이상의 태아를 유산・사산한 자
    *인공 임신중절수술은 지원불가(모자보건법 제14조제1항의 경우는 제외)

지원내용

  • 출산(유산, 사산포함) 태아 1인 기준 1백만원 지급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장애인가정 출산지원금

지원대상

  • 신생아의 부 또는 모가 등록된 장애인으로서 신생아와 주민등록을 같이하는 세대
  • 신생아 출생일을 기준으로 6개월 전부터 신청일 현재까지 계속 아산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사람

지원내용

  • 신생아 1인 마다 2백만원 지급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중증장애인여성 육아보조수당

지원대상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재가 중증장애인으로 취학 전 아동(만0세~만5세)과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동일하며 실제 양육하고 있는 사람

지원내용

  • 가구당 월 10만원 씩 1년간 지급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3. 의료 및 재활지원

장애인 의료비 지원

지원대상

  • 의료급여법에 의한 의료급여 2종 수급권자인 등록장애인 ○ 건강보험의 차상위 본인부담 경감대상자인 등록장애인(만성질환 및 18세미만 장애인)

지원내용

  • 의료기관 이용시 발생하는 급여항목 본인부담금의 일부 또는 전액 지원(비급여 제외)
  • 1차 의료기관 외래진료 본인부담금 750원 일괄지원
  • 2차, 3차 의료기관 진료
    -의료(요양)급여수가적용 본인부담 진료비 15%(차상위 14%, 암환자 5%, 입원 10% 등) 전액을 지원하되 본인 부담금 식대 20% 및 약제비는 지원하지 않음 의료급여증과 장애인등록증을 제시

장애인 등록 진단서 발급비 지원

지원대상

  • 기초생활수급자로서 신규 등록 장애인
  • 재판정으로 재진단 받는 등록장애인 중 기초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 직권재판정 대상자(소득 무관)

지원내용

  • 진단서 발급 비용 지원
  • 지적, 자폐성, 정신장애:4만원
  • 그 외 장애:1만 5천원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장애등록 검사비 지원

지원대상

  • 기초생활수급자로서 신규 등록 장애인
  • 재판정으로 재진단을 받는 등록장애인 중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 직권재판정 대상자(소득 무관)

지원내용

  • 최대 10만원 범위 내에서 실비 지원
    •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발달재활 서비스

      지원대상

      • 연령기준:만 18세 미만 장애아동
      • 장애유형:뇌병변, 지적, 자폐성, 언어, 청각, 시각 장애아동(중복장애 인정)
      • 소득기준: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 기타요건
        -장애인복지법상 등록장애아동
        -다만, 등록이 안된 만 6세 미만 아동은 발달재활서비스 의뢰서(검사자료 포함)로 대체 가능

      지원내용

      • 매월 17만원∼25만원의 발달재활 서비스 바우처 지원
      • 언어・청능, 미술・음악, 행동・놀이・심리, 감각・운동 등 발달재활서비스 선택하여 이용
        -시・군・구에서 지정한 발달재활서비스 제공기관 중 이용자가 원하는 기관에서 서비스 이용 가능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언어발달지원

      지원대상

      • 연령기준:만 12세 미만 비장애아동(한쪽부모 및 조손가정의 한쪽 조부모가 시각・청각・언어・지적・ 뇌병변・자폐성 등록 장애인)
      • 소득기준: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지원내용

      • 매월 16만원∼22만원의 언어재활 등 바우처 지원
      • 언어발달진단서비스, 언어・청능 등 언어 재활서비스, 독서지도, 수화지도
        -시・군・구에서 지정한 발달재활서비스 제공기관 중 이용자가 원하는 기관에서 서비스 이용 가능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장애인 보조기기교부

      지원대상

      • 장애유형: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심장, 호흡기, 언어, 자폐성, 지적장애
      • 소득기준: 국민기초생활법상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 교부대상: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에서 보조기기 필요(적격)로 판정된 자

      지원내용

      [장애인 보조기기교부 지원내용]표:품목, 교부대상
      품목 교부대상
      욕창예방 방석 및 메트리스 심장장애
      음성유도장치, 음성시계, 영상확대 비디오, 문자판독기, 녹음 및 재생장치 시각장애
      신호장치, 진동시계, 헤드폰 청각장애
      보행차, 좌석형 보행차, 탁자형 보행차, 음식 및 음료 섭취용 보조기기, 음식섭취 보조기기(음식 및 음료 섭취용 보조기기, 식사도구, 젓가락 및 빨대, 머그컵, 유리컵, 컵 및 받침접시, 접시 및 그릇, 음식보호대), 기립틀 및 기립을 위한 지지대, 목욕의자, 경사로, 이동변기, 독립형 변기 팔 지지대 및 등지지대, 환경 제어 장치, 지지대 및 손잡이, 장애인용 유모차, 바닥 특수 앉기 자세유지용 장치, 목욕용 미끄럼방지용품 지체・뇌병변장애인
      미끄럼 및 회전을 위한 보조기기, 의류 및 신발, 휠체어 액세서리, 침대 및 탈착식 침대 판/전동조절식 매트리스 지지단, 소변수집장치 지체・뇌병변・심장・호흡기장애인
      대화용장치 뇌병변・지적・자폐성・청각・언어장애인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청각장애인 인공 달팽이관 수술비 지원

      지원대상

      • 인공달팽이관 수술로 청력회복이가능한 저소득 청각장애인

      지원내용

      • 인공달팽이관 수술비 및 재활치료비 지원
        ※ 치료지원기간, 지원대상 및 지원금액은 시・도, 시・군・구에서 정함
        ※장애인 의료비 지원 사업의 본인부담 진료비와 이중 신청 및 지급 불가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장루·요루장애인 의료비지원

      지원대상

      • 소득기준: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인 장루·요루 등록장애인

      지원내용

      • 보호판, 장루·요루 주머니 등 의료케어 제품 구입비
      • 지급금액 1인 연 23만원 이내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미취업장애인 건강검진지원

      지원대상

      • 지급대상: 만 18세 이상의 미취업 등록 장애인
      • 소득기준: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지원내용

      • 건강검진 비용 1인 20만원 이내
      • 당해연도 예산 범위 내에서 소득수준이 낮은자, 장애 정도가 심한자, 나이가 많은 자 순으로 우선 지원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장애인보장구 수리지원

      지원대상

      • 지원대상: 보장구를 이용한 「장애인복 지법」 상 등록장애인

      지원내용

      • 보장구 고장시 방문 수리서비스 제공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가구는 연 30만원, 일반가구 연 20만원 한도 지원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4. 서비스

      장애인 활동 지원

      지원대상

      • ○ 만 6세 이상 65세 미만 장애인복지법상 등록장애인 중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 결과 산출된 종합점수에 따라 활동지원급여 수급자격을 인정받은 자 ※ 노인성질환이 있는 65세 미만의 등록장애인도 활동급여 신청 가능(’23~)

      지원내용

      • 월 한도액
        -활동지원급여(1~15구간): 월 936천원~7,475천원
        -특별지원급여
      • 한시적 지원
        ・ 출산: 월 1,247천원
        ・ 자립준비: 월 313천원
        ・ 보호자 일시부재: 월 313천원
        ※노인장기요양 전환자 서비스 감소분지원 중(’21년~)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장애아 가족양육 지원

      지원대상

      • 만 18세 미만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가정
      • 소득기준: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휴식지원 프로그램은 소득 기준 상관없이 만 18세 미만 모든 장애아가족에게 지원(돌봄서비스 받는 가정 우선 지원)

      지원내용

      • 돌봄서비스
        - 아동의 가정 또는 돌보미 가정 등에서 돌봄서비스 제공
        - 아동 1인당 연 960시간 범위내 지원
      •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 및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 이용자 선정 조사를 통하여 적격으로 판정받은 자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발달장애인 주간활동 서비스

      지원대상

      • 만 18~64세 「장애인복지법」상 등록된 지적 및 자폐성 장애인
        *장애인 당사자 및 가구의 소득수준과 무관하게 신청 가능
      •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 및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 이용자 선정 조사를 통하여 적격으로 판정받은 자

      지원내용

      • 발달장애인이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관이나 장소를 이용 및 참여하여 동료이용자와 함께 낮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이용권(바우처) 제공(월 132/176시간 제공)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청소년 발달장애인 방과후 활동서비스

      지원대상

      • 만 6세~18세 미만의 「장애인복지법」상 등록된 지적 및 자폐성 장애인
        * 단, 만 18세 이상의 재학생의 경우 방과후활동서비스(재학증명서 필수)와 주간활동서비스 중 택1 가능(중복이용 불가)

      지원내용

      • 월 66시간 방과후 활동 바우처 제공
      • 청소년 발달장애인에게 안전한 돌봄 지원 및 가족의 돌봄 부담 경감과 경제활동 참여 증진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발달장애인 공공후견 지원

      지원대상

      • 만 19세 이상 발달장애인 「장애인복지법」상 등록된 지적 및 자폐성 장애인

      지원내용

      • 공공후견 심판청구비용: 실비, 1인당 연간 최대 50만원
      • 공공후견인 활동비용: 월 20만원, 최대 월 50만원
        ※후견법인이 공공후견인이 되는 경우 활동비 동일(단, 상한 제한 없음)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지원

      지원대상

      • 발달장애인 자녀를 가진 부모 및 보호자
      • 장애인 유형:「장애인복지법」에 근거한 지적・자폐성 장애인

      지원내용

      • 상담(개별/단체) 서비스 지원
        -1인당 월 160천원 바우처 지원(초과금액은 본인부담)
        -월 3~4회, 회당 50분~100분, 12개월간 제공(특별한 경우 연장 최대 12개월 가능)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시각장애인 안마서비스

      지원대상

      • 소득기준: 기준중위소득 140% 이하 또는 기초연금 수급자
      • 연령기준
        - 근골격계·신경계·순환계 질환이 있는 만 60세 이상인자
        - 국가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에 의해 상이등급 판정을 받은 자 중 근골격계·신경계·순환계 질환자
        - 지체 및 뇌병변 등록장애인

      지원내용

      • 서비스 가격: 168,000원(정부지원금 151,200원, 본인부담금 16,800원)
      • 서비스 제공기간: 12개월
      • 재판정 1회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장애인보조기기 렌탈서비스

      지원대상

      • 소득기준: 없음
      • 연령기준: 만24세 이하 장애 아동·청소년
      • 욕구기준
        - 장애판정을 받은 지체 및 뇌병변 장애 아동청소년, 척수장애 또는 근위축증으로 의사 진단서 발급이 가능한 아동·청소년

      지원내용

      • 서비스 가격 월 12만원 (정부부담 70~90%, 본인부담 10~30%)
        - 수급자, 차상위: 108,000원 지원
        - 중위소득 140%이하: 96,000원
        - 중위소득 140%초과: 84,000원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신체재활 서비스

      지원대상

      • 소득기준: 기준중위소득 160% 이하
      • 연령기준: 만 19세 이상
      • 욕구기준: 아래 두 기준 중 한가지 충족시
        - 신체적 장애를 가진 등록장애인
        - 사고나 질환으로 신체활동의 제약이 있어 신체재활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의사소견 받은 자

      지원내용

      • 서비스 횟수 주 1회(회당 60분), 월 4회
      • 서비스내용
        - 관절, 근력운동
        - 기능적 이동훈련
        - 보행훈련
        - 일상행활 동작훈련 등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장애인자동차표지 발급

      지원대상

      • ○ 장애인 또는 장애인과 주민등록표상의 주소를 같이 하면서 함께 거주하는 배우자, 직계존・비속, 직계비속의 배우자, 형제・자매, 형제・자매의 배우자 또는 자녀의 명의로 등록 하여 장애인이 주로 사용하는 자동차 1대
      •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 제6조에 의하여 국내거소신고를 한 재외동포와 「출입국관리법」에 의한 외국인 등록을 한 외국인으로서 보행장애가 있는 사람 명의로 등록한 자동차 1대
      • 「장애인복지법」 제58조에 따른 장애인복지시설 및 동법 제63조에 따른 단체 명의로 등록하여 장애인복지사업에 사용하는 자동차
      • ※지방자치단체의 명의로 등록하여 장애인복지시설이나 장애인복지단체가 장애인복지사업에 사용하는 자동차 포함
      • 「노인복지법」 제34조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명의의 자동차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8조 제5항에 따라 각급학교의 명의로 등록하여 장애인의 통학을 위하여 사용 되는 자동차
      • 「영유아보육법」 제26조에 따라 장애아를 전담하는 어린이집의 명의로 등록하여 장애아 보육 사업에 사용되는 자동차
      •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제16조에 따른 특별교통수단으로서 장애인의 이동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자동차

      지원내용

      • 주차가능 표지 부착 차량에 대해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주차 가능
        ※장애인의 보행상 장애 여부에 따라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을 이용할 수 있는 표지가 발급 되며, 장애인이 탑승한 경우에만 표지의 효력을 인정

      비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장애인 자립자금대여

      지원대상

      • 성년(만 19세 이상) 등록 장애인
        -소득기준: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 100% 이하
        -금융기관의 여신규정상 결격사유가 없는 자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의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은 미소금융재단의 자금대여상품을 이용(자영업자 관련 대출자금, 장애인 자립자금 대출자금)
      • 대여목적 : 생업자금, 생업용 자동차 구입비, 출퇴근용 자동차 구입비, 취업에 필요한 지도 및 기술훈련비 등
        ※생활가계자금, 주택전세자금, 학자금 등의 용도로 융자 불가

      지원내용

      • 대여한도
        -무보증대출:가구당 1,200만원 이내 (단, 자동차 구입자금의 경우 특수설비 부착시 1,500만원 이내)
        *요건 : 재산세 2만원 이상 또는 연간소득 600만원 이상
        -담보대출:5,000만원 이하
      • 대여이자
        -21년 1분기 이전 대상자까지: 최고 3%
        -21년 2분기 이후 신규자부터: 최고 2%
      • 상환방법:5년 거치, 5년 분할 상환

      비고

      읍・면・동에 신청

      중증장애인 자산형성지원

      지원대상

      • 만15세 이상 ~ 만39세 이하 청년중증장애인 중 기준중위소득이 100%이하인 가구
      • 매년 4월 중 대상자 모집공고

      지원내용

      • 제외대상 : 시설수급자
      • 3년 만기 반짝자립통장 개설, 본인 저축액 매월 10~20만원 저축 시 보조금 15만원 매칭 지원

      5. 일자리

      장애인 일자리지원

      지원대상

      • 만 18세 이상 등록장애인
        (단, 시각장애인안마사 파견사업의 경우 시각장애인 중 관련법에 의거 안마사 자격 인증을 받은 자)

      지원내용

      급여 및 주요내용 지원 표 : 구분,내용, 근로시간, 급여
      구분 내용 근로시간 급여
      일반형 (전일제) 일자리 시・군・구청, 읍・면・동주민센터, 보건소, 공공기관 등에 배치되어 행정보조, 복지서비스지원, 직업재활시설지원 업무 수행 주5일
      40시간
      월 보수 2,010천원
      월 운영비 224천원
      일반형 (시간제) 일자리 주 20시간 월 보수 1,005천원
      월 운영비 112천원
      복지일자리 공공기관, 복지관 등에 배치되어 도서관 사서보조, 주차단속보조, 환경정리 등 참여자의 직업능력을 반영한 33개 맞춤형 직무 수행 월 56시간 월 보수 539천원
      월 운영비 24천원

      비고

      지자체 또는 사업수행기관 (위탁기관)에서 공개모집)

      6. 공공요금 등

      차량 구입시 도시 철도채권 구입 면제

      지원대상

      • 장애인명의 또는 장애인과 주민등록상 같이 거주하는 보호자 1인과 공동 명의로 등록한 보철용의 아래 차량중 1대
        -비사업용 승용자동차
        -15인승 이하 승합차
        -소형화물차(2.5톤 미만)

      지원내용

      • 도시철도채권 구입의무 면제(지하철 공사가 있는 특별시와 광역시에 해당)

      비고

      시・군・구청 차량등록 기관에 신청 (자동차판매사 영업사원에게 문의)

      고궁, 능원, 국・공립박물관및 미술관,국・공립공원, 국・공립공연장공공체육시설 요금 감면

      지원대상

      • 등록장애인 및 중증장애인과 동행 하는 보호자 1인
        -국・공립 공연장중 대관공연은 할인에서 제외

      지원내용

      • 입장요금 무료
        ※실비 차원의 시설 이용료 등은 자체규정에 따라 감면 가능
        ※국・공립 공연장(대관공연 제외) 및 공공 체육시설 요금은 50% 할인
        ※공공체육시설:생활체육관, 수영장, 테니스장, 스키장 등

      비고

      장애인등록증(복지카드) 제시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감면

      지원대상

      • 등록장애인
        -장애인 자가 운전 차량
        -장애인이 승차한 차량

      지원내용

      •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의거 할인 혜택 부여
        ※대부분 50% 할인혜택이 부여되나 각 자치단체별로 상이

      비고

      장애인 등록증(복지카드) 제시

      철도・도시철도 요금 감면

      지원대상

      • 등록장애인

      지원내용

      • 등록장애인중 중증장애인 및 중증장애인과 동행하는 보호자 1인 KTX, 새마을호, 무궁화, 통근열차:50% 할인
      • 경증장애인
        -KTX, 새마을호:30% 할인(토・일, 공휴일을 제외한 주중에 한하여)
        -무궁화, 통근열차:50% 할인
      • 도시철도(지하철, 전철):100%

      비고

      장애인 등록증(복지카드) 제시

      유선통신 요금 감면

      지원대상

      • 등록장애인
      • 장애인 복지시설, 장애인 복지단체, 특수학교, 아동 복지시설

      지원내용

      • 시내전화:월 통화료 50% 감면
      • 시외전화:월 통화료 50% 감면(월 3만원 한도)
      • 인터넷전화:월 통화료 50% 감면
        *이동전화에 거는 요금:월 1만원 사용 한도 이내에서 30% 감면
      • 114 안내요금 면제(자동연결은요금부과)
      • 초고속인터넷 월 이용료 30% 감면
        *단체의 경우 2회선 감면(청각장애인 단체 등은 FAX용 1회선 추가 제공), 시・내전화, 인터넷전화 중복 감면 없음

      비고

      해당 통신회사 또는 읍・면・동주민센터 신청

      이동통신 요금 감면

      지원대상

      • 등록장애인
      • 장애인 복지시설, 장애인 복지단체, 특수학교, 아동 복지시설

      지원내용

      • 가입비 면제
      • 기본료 및 통화료(음성 및 데이터 한함) 35% 할인
        *차상위계층은 가구당 4인 한도 감면가능, 월 최대감면액은 10,500원
        *단, 이동전화재판매사업자(MVNO, 알뜰폰) 사업자는 감면 미실시

      비고

      해당 통신회사 또는 읍・면・동주민센터 신청

      시・청각 장애인 TV 수신료 면제

      지원대상

      • 시각・청각 장애인이 있는 가정

      지원내용

      • TV수신료 전액 면제
        ※시・청각장애인 가정의 수신료 면제는 주거 전용의 주택 안에 설치된 수상기에 한함

      비고

      주소지 관할 한전지사, KBS수신료콜센터(1588-1801), 인터넷 www.oklife.go.kr또는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

      시・청각 장애인용 TV(방송수신기) 보급

      지원대상

      •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시각・청각 장애인 및 국가보훈처등록(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 눈・귀 상이등급자(저소득층 우선보급) -소득, 장애정도, 연령 등을 반영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보급

      지원내용

      • 시・청각 장애인용 TV

      비고

      시청자미디어재단(☎02-6900-8322)

      장애인방송 시청 지원

      지원대상

      • 시청각장애인(자막방송, 화면해설방송,수어방송)
      • 발달장애인(발달장애인용 방송프로그램)

      지원내용

      •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장애인방송(자막, 수어, 화면 해설방송) 지원
        -국내 방송사업자(지상파, SO, PP, 종편, 위성 등) 장애인방송 제작지원
      • EBS 장애인교육방송물 보급
        -시・청각장애인 학생을 위해 EBS교육방송물을 자막・화면해설방송으로 재제작하여 웹을 통해 지원 (http://free.ebs.co.kr)
      • 발달장애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 제작된 영상물을 ‘알기 쉬운 자막・음성해설방송’으로 재제작하여 보급

      비고

      방송통신 위원회 산하 시청자미디어재단(☎02-6900-8322)

      항공요금할인

      지원대상

      • 등록장애인
        ※항공요금 할인은 「장애인복지법」에 근거하지 아니하고, 항공사에서 자율적으로 할인을 실시하는 제도임

      대한항공(문의처:1588-2001)

      대한항공 항공요금 할인지원 표 : 조건,할인율,증빙서류
      조건 할인율 증빙서류
      ‣1~4급 장애인
      ‣1~3급 장애인의 동반보호자 1인
      ‣장애 정도가 심한장애인(중증) 및 동반 보호자 1명
      50% 시・군・구청장 발행 장애인등록증 및 복지카드
      ‣5~6급 장애인
      ‣장애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경증)
      30%

      아시아나 항공(문의처:1588-8000)

      아시아나항공 항공요금 할인지원 표 : 대상,조건,정상운임,할인율,증빙서류,비고
      대상 조건 정상운임
      할인율
      증빙서류 비고
      ‣장애인(성인/소아/유아) 중증(혹은1~3급) 복지카드 소지자 50% 시・군・구청장 발행 복지카드 공항이용료 50% 할인
      경증(혹은 4~6급) 복지카드 소지자 30%
      ‣장애인동반자 중증(혹은 1~3급) 승객과 동반하는 보호자 1인 50%

      에어부산(문의처:1666-3060)

      에어부산 항공요금 할인지원 표 : 구분,할인율(공시운임대비),적용조건,증빙서류
      구분 할인율
      (공시운임대비)
      적용조건 증빙서류
      ‣장애인 30% ⁃장애의 정도가 심한장애인 (중증, 기존1~3급)
      ⁃장애의 정도가 심한장애인의, 동반보호자 1인
      시・군・구청장 발행 복지카드
      10%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경증, 기존4~6급)
      ‣소아장애인 50% ⁃장애의 정도가 심한장애인 (중증, 기존1~3급)
      30%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경증, 기존4~6급)
      ⁃장애의 정도가 심한 소아장애인의 동반 보호자 1명
      (단, 운임 미부과 손님의 동반 보호자는 할인 불가)

      진에어(문의처:1600-6200)

      진에어 항공요금 할인지원 표 : 적용대상,증빙서류,운임할인율,공항세할인율
      적용대상 증빙서류 운임할인율 공항세할인율
      ‣1~3급 장애인의 동반보호자 1명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중증)의 동반보호자 1인
      시・군・구청장 발행 복지카드
      *기존의 장애등급 장애정도 표기된 장애인등록증 및 복지카드
      모두 증빙서류로 인정
      40% 50%
      ‣1~4급 장애인 본인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중증) 본인
      ‣5~6급 장애인 본인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경증) 본인
      할인없음 50%

      제주항공(문의처:1599-1500)

      제주항공 항공요금 할인지원 표 : 적용조건,증빙서류,운임할인율
      적용조건 증빙서류 운임할인율
      ‣1~4급 장애인
      ‣1~3급 장애인의 동반 보호자 1인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중증)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중증)의 동반보호자 1인
      시・군・구청장 발행 장애인 등록증 및 복지카드
      * 장애정도/ 장애등급 표기된 장애인 등록증및 복지카드 모두 가능
      40%

      티웨이항공(문의처:1688-8686)

      티웨이항공 항공요금 할인지원 표 : 구분,운임할인율,공항세할인율,적용대상,증빙서류
      구분 운임할인율 공항세할인율 적용대상 증빙서류
      주말/성수기 비수기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를 가진 제주도민(경증, 기존 4~6급) 5% 20% 50% ⁃신분증상 현주소가 제주도로 되어 있는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경증, 기본4~6급) 시・군・구청장 발행 복지카드
      *제주도민은 현주소 확인 가능한 서류(주민등록등본 등)
      ‣ 장애인 50% 50% 50%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중증, 기존1~3급)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중증, 기존1~3급)의 동반 보호자 1명
      ⁃장애의 정도가 심한 소아 장애인(중증, 1~3급)
      해당없음 해당없음 50%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경증, 기존 4~6급) 시・군・구청장 발행 복지카드

      ※모든 항공사 할인은 항공사 정상운임 기준 할인이며, 이중 할인은 적용되지 않음
      ※적용대상 중 장애등급으로 구분되는 경우는 ’19.7월 이전 장애인등록증 또는 복지카드 발급자에 한함

      연안여객선 여객운임 할인

      지원대상

      • 등록장애인

      지원내용

      • 연안여객선 중증장애인 여객운임 50% 할인 ※선사별 개별운송약관에 의해 구체적 할인율이 상이할 수 있음

      비고

      장애인 등록증 (복지카드) 제시 한국해운조합(☎02-6096-2044)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지원대상

      • 장애인 또는 장애인과 주민등록표상 같이 기재되어 있는 보호자(배우자・직계 존속・직계비속・직계비속의 배우자・ 형제・자매)의 명의로 등록한 아래 차량 중 1대(장애인자동차표지 부착)에 승차한 등록장애인
        -배기량 2,000cc 이하의 승용자동차
        -승차정원 6∼10인승 승용자동차 (배기량 제한없음)
        -승차정원 12인승 이하 승합차
        -최대적재량 1톤 이하 화물 자동차
        ※경차와 영업용차량(노란색 번호판의 차량)은 제외

      지원내용

      • 고속도로 통행료 50% 할인
        -일반차로:요금 정산소에서 통행권과 할인카드 또는 장애인통합복지카드를 함께 제시하면 요금 할인
        -하이패스 차로
        ・지문인증방식 : 출발전 하이패스 감면 단말기에 연결된 지문인식기에 지문을 인증한 후 고속도로(하이패스 차로) 출구를 통과할 때 통행료 할인
        ※지문인식기 내 지문인증 시 유효 시간은 4시간이며 초과 또는 전원 재부팅 시 재인증 필요
        ・통합복지카드방식 : 하이패스 단말기(일반, 감면)에 통합복지카드를 삽입하고, 등록된 휴대폰을 지참한 후 고속도로(하이패스 차로) 출구를 통과하면 휴대폰 위치정보 조회로 본인탑승 확인하여 통행료 할인(선불카드는 감면금액 익월 환급, 후불카드는 감면금액 보정 후 카드사 청구)

      비고

      장애인통합 복지카드 발급 신청 :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감면단말기 지문정보 입력 :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 한국도로공사 지역본부, 지사, 거점 영업소(20) 통합복지카드 하이패스 감면 서비스 신청 :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 한국도로공사 영업소, 고속도로통행료 홈페이지

      전기요금 할인

      지원대상

      • 중증장애인

      지원내용

      • 전기요금 정액 감액
        ∙여름철(6~8월): 월 20,000원 한도
        ∙기타계절: 월 16,000원 한도
        -문의전화:국번없이 123
        -인터넷:www.kepco.co.kr

      비고

      한국전력 관할지사・지점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도시가스요금 할인

      지원대상

      • 중증장애인

      지원내용

      • 주택용(취사용 및 개별난방용에 한함) 도시가스 할인
        ※구비서류:장애인복지카드 사본, 실거주 확인서(주민등록등본등)

      비고

      산업통상산업부(1577-9000)
      지역별 도시가스 지사・지점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장애인 자동차검사수수료 할인

      지원대상

      • ‘장애인복지법’ 제32조에 의한 등록 장애인 본인 또는 세대별 주민등록표상 같이 기재 되어 있는 보호자(배우자, 직계존비속, 직계 비속의 배우자, 형제, 자매)의 명의로 등록된 아래의 비사업용 자동차 1대
        -승용차, 12인승 이하 승합차, 적재량 1톤 이하 화물차

      지원내용

      • 정기검사 및 종합검사 수수료의 50∼30%
        -중증장애인:50%
        -경증장애인:30%
        ※일반수수료
        ∙정기검사(15,000∼25,000원)
        ∙종합검사(45,000∼61,000원)
      • 대상자동차 확인 방법
        -장애인차량표지(부착) 확인 후
        ∙장애인복지카드, 장애인증명서 등
      • 장소:교통안전공단 자동차검사소
        ※일반검사소가 아님

      비고

      교통안전공단 (문의)(☎1577-0990) www.ts2020.kr


    위로가기